티스토리 뷰
210728 수정
미리 만들어진 Database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는데 보고있던 코드랩에서는 내가 직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만
다루고 있어서 또 서치....
일단 안드로이드 공식에서는 한글로 미리채우기 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었음
하라는 건지 말라는 건지..
암튼 이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경우 DB 관련 도구를 사용(거의 DB browser for SQLite 사용함)해 쿼리를 실행하고 db 파일을 asset에 넣어 적용하면 된다.
그리고 구글의 샘플을 찾던 중 더미 텍스트들을 사용한 코드를 발견...
이름도 PersistenceContentProvidersampel 이니까 맞지 않나.. .싶다가도
이렇게요..? 괜찮아요?? 많이놀랐죠?
냅다 고민에 빠져버린...
아무튼 이 녀석은 이후
이렇게 insert를 하게 되는데 아주.. 그 전에 웹 할 때 자주 보던 형태이긴 함
아무튼 이 두 방법중 하나를 해보려고 한다.. 응원해줘 미래의 나!
위 치즈 샘플은
여기서 확인 가능
https://developer.android.com/samples
여기서 다양한 샘플들을 검색해 구경할 수 있으니 몰랐다면 한 번쯤 확인하길 바람^^
DB browser for SQLite를 사용해서 에셋에서 채우기를 해봤는데 이게 잘 안되네.. 원인 찾는 중
원인은 DB의 테이블 명과 앱 entity의 테이블 명이 달랐기 때문
entity의 tableName이 테이블 이름임을 기억하자.. 클래스 이름은 전혀 관계없음!
DB browser 사용법은 일반 SQL 사용법과 같아서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만약 DB를 수정했는데 적용이 안된다면 DB migration을 하거나(아직 하는 법 모름)
앱을 지우고 새로 설치하면 바로 적용되니까 꼭 참고할 것
'#1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Observe (0) | 2021.06.10 |
---|---|
[Android] RecyclerView, ViewPager..... (0) | 2021.06.07 |
[Android/Kotlin] Adapter - Activity (0) | 2021.06.02 |
[Android] application Id - 어플을 복사하자! (0) | 2021.05.31 |
[Android/java] Room 사용하기 (0) | 2021.05.31 |